웹접근성
웹접근성 (Web Accessibility)이란?
장애인, 고령자 등이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비장애인과 동등하게 접근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입니다.
- 1. 시각장애인이 이미지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
- 2. 청각장애인이 동영상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
- 3. 지체장애인이 키보드로 웹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
웹접근성을 준수하면?
장애인, 고령자 등 모든 사람들이 웹에서 제공되는 정보들을 자유롭게 접근하고 이용할 수 있습니다.
- 민원 · 행정서비스
- 평생학습센터
- 쇼핑
- 멀티미디어
개발 업체 및 개발자들은 다양한 운영체제와 브라우저 상 개발 및 운영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습니다.
- - 다양한 브라우저 (FireFox등)를 지원합니다.
- - 다양한 운영체제 (리눅스, Mac OS등)를 지원합니다.
- - 다양한 기기 (PDA, 휴대폰)를 지원합니다.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
장애인차별금지법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 (이하 "장차법") 시행령 제14조 제2항 제1호(정보통신 의사소통에서의 정당한 편의 제공의 단계적 범위 및 편의의 내용) 누구든지 신체적ㆍ기술적 여건과 관계없이 웹 사이트를 통하여 원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접근성이 보장되는 웹사이트
웹 접근성 준수 의무화
2008년 4월 11일부터 시행된 장차법 제21조 및 동법 시행령 제14조에 의거하여 공공 및 민간 웹 사이트의 웹 접근성 준수가 의무화 되었습니다. 장애를 이유로 웹 사이트에 접근하여 이용하지 못하는 차별을 방지하고자 웹 접근성 준수를 단계적으로 의무화 하였습니다.
장차법 권리구제 절차
장애인이 차별을 받았거나 의무이행이 되지 않는 경우
- ① 장애인 및 관련자 진정
- ② 국가인권위원회 조사를 통해 시정권고, 시정권고 불이행시 법무부가 시정명령, 불이행시 과태료
- ③ 민사상 손해에 대하여 법원에 손해배상 청구
- ④ 사법기관에 고발시 형사소송 진행
- 시정명령 불이행시 3천만원 이하의 과태료(장차법 제50조)
- 차별행위가 악의적인 경우(고의성, 지속/반복성, 보복성 등 고려)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 부과(장차법 제49조)
Web Accessibility
What is Web Accessibility?
Web Accessibility ensures equal access to website information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the elderly.
- 1. Persons with visual impairments should be able to understand images.
-
- 2. Persons who are deaf or hard of hearing should be able to understand videos.
-
- 3. Persons with physical disabilities should be able to access the web using a keyboard.
-
By Complying with Web Accessibility Standards
Everyone, including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the elderly, can freely access and use the information provided on the website.
- Public · Administrative Services
- Lifelong Learning Center
- Shopping
- Multimedia
Developers and relevant organizations can work more efficiently across various operating systems and browsers.
- - Support various browsers, such as Firefox.
- - Support various operating systems, such as Linux and macOS.
- - Support various devices, such as PDAs and mobile phones.
The Act on the Prohibition of Discrimination against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Remedy against Infringement of their Rights
A website where accessibility is guaranteed to ensure that any person can use the desired service through the website, irrespective of physical or technical circumstances. (Article 14, Paragraph 2, Item 1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Act on the Prohibition of Discrimination against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Remedy against Infringement of their Rights)
Mandatory Compliance with Web Accessibility
Since April 11, 2008, compliance with web accessibility has been made mandatory for both public and private websites under Article 21 of the Act on the Prohibition of Discrimination against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Remedy against Infringement of their Rights (hereinafter "the Act"), and Article 14 of its Enforcement Decree. This regulation was introduced to prevent discrimination against persons with disabilities who may otherwise be unable to access and use websites, and to gradually enforce web accessibility compliance.
Remedies Procedure
When a person with a disability is subjected to discrimination or when obligations are not fulfilled:
- ① Filing a petition by persons with disabilities or related parties
- ② Investigation by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followed by a corrective recommendation; if not implemented, the Ministry of Justice may issue a corrective order
- ③ Civil claim for damages through the court for any harm suffered
- ④ Criminal proceedings initiated upon referral to judicial authorities
- A fine of up to 30 million KRW may be imposed for non-compliance with a corrective order. (Article 50 of the Act)
- If a discriminatory act is deemed malicious - considering factors such as intent, continuity or repetition, and retaliatory nature - the offender may be sentenced to imprisonment for up to three years or fined up to 30 million KRW. (Article 49 of the Act)